로그인   |   회원가입
여성/소아클리닉
Home   >   여성/소아클리닉   >   야뇨증
과민성 방광 요실금 귀두포피염 야뇨증 잠복고환

야뇨증

환자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로 고객감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환자진료에 최선을 다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로 고객감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야뇨증이란?

5세 이상에서 비뇨기계에 뚜렷한 이상이 없고 낮 동안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밤에만 오줌을 지리는 것을 말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지속되는 원발성과 최소 6개월 이상 야뇨증이 없는 기간이 있다가 발생한 속발성으로 분류합니다.

만 5세 아이들의 15%에서 야뇨증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7세경에는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야뇨증 원인 〉

  • 유전적인 경향

  • 방광 기능의 성숙 지연

  • 수면 요소

  • 정신적인 원인

  • 요로계 질환

치료

야뇨증의 치료 시기는 5세 이후나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이 좋습니다.
대부분 치료하지 않더라도 매년 15% 정도는 증상이 자연스럽게 없어집니다.
그러나 그 기간 동안 야뇨증 어린이에게 수치심, 죄책감, 실패감으로 자신감이 결여되어 성격 형성 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① 약물요법

ㆍ 항우울제제 이미프라민 : 배뇨근에 대한 이완 작용, 방광 용적의 증가로 치료 효과를 기대하며 전체 환자의 60~80%에서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ㆍ 항이뇨 호르몬의 유사체 : 밤에 항이뇨 호르몬이 적절하게 분비되지 않아 소변량이 증가하는 경우 부합하며 전체 환자의 60~80%에서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② 행동요법

ㆍ 야뇨 경보기 : 행동요법의 하나로 일종의 조건반사 치료법입니다.
ㆍ 동기 치료 : 오줌을 싸지 않은 날에 칭찬 또는 선물을 통해 긍정적 강화로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입니다.